top of page

Spectacle of light, flight from ‘knowledge’ – Jeongju Jeong’s solo exhibition 《Luminous City》, 2023

Sangyoon Lee, Art History (Ph.D)

 

“There was the same red glare as far as eye could reach, and small waves were lapping the hot sand in little, flurried gasps. I could feel my temples swelling under the impact of the light. And each time I felt a hot blast strike my forehead, I gritted my teeth, I clenched my fists in my trouser pockets and keyed up every nerve to fend off the sun and the dark befuddlement it was pouring into me.” - The Stranger by Albert Camus.

 

I. Sensory Thinking: Flight from ‘knowledge’ 1

 

In La Pensée Sauvage, anthropologist Claude Lévi-Strauss has explained that, contrary to the popular belief, sensory-dependent, concrete, and sometimes shamanistic thinking is not uncivilized or inferior. Even in the early works of Jeongju Jeong until the 2000s, a new way of thinking was seen, different from the Western ideological system observed by Levi-Strauss. His drawings are full of wriggling eccentric creatures, low-slung movements, or flying distorted figures, which are sufficient grounds for the artist's extraordinary interest in specific physical forms and fluids collected through direct physical sensation, experience, and observation.

In other words, I think that sensuous, concrete, and specific perception, rather than deductive and prescriptive ‘knowledge,’ may have been the foundation of Jeongju Jeong’s work. Lévi-Strauss's warning that the abstract concept of 'flower' creates the illusion of 'knowledge' by unreasonably homogenizing or prematurely defining the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such as roses, daisies and lilies is reminded again in Jeongju Jeong’s early drawings and his trajectory. In this way, he encourages us to doubt the fact that we ‘know.’

 

II. Expanding: Light, Eyes, Cameras, and the Politics of Gaze

 

Such examples also appear in the artist's perception of light and in the process of making its images. While studying abroad at the Kunstakademie Düsseldorf in Germany, Jeongju Jeong sensed that the light was illuminating his room 'as if a tongue was licking my insides'. From 2010 to 2014, he created works of art using cameras, monitors, and the gaze of the audience that scanned throughout the inside of the space. The negative sense related to light such as fear, anxiety, oppression, and hysteria is very similar to the sense in Albert Camus's L'Etranger quoted above. Under the inescapably scorching sun, the protagonist, unable to bear the pressure and hysteria commits murder. The works of Jeongju Jeong during this period, which were aesthetic but also uncanny and pale, also revealed this sense of hysteria on edge.

Dealing with the politics of the gaze, that is, the power and tension perceived from the gaze of a small camera inside the small space of the work, Jeongju Jeong's work is connected to the body and hysterical behavior around this time, which is also traceable to the thought of such senses. The gaze that otherizes me, the eerie light that symbolizes that gaze, the persistent tracking of the camera, and the powerful gaze that penetrates without escape, gradually expanded the themes of his work to encompass politics and history.

 

III. Ambivalence: Flight from ‘Knowledge’ 2

 

Jeongju Jeong's 518 Democratic Uprising series, including Jeonil Building,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Sangmugwan, and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also emerged in the same trend as above. However, his perspective on the 518 Democratization Uprising is different from its seamless history. The memory of 518 that the artist expresses is neither integrated, comprehensive, nor prescriptive. Like the abstract images of intersecting lines generated by the small camera and a projector installed inside the work, Jeongju Jeong's memories of his hometown of Gwangju and the 518 Democratic Uprising were white and bright, making it even more confusing and eerie

This can be explained by the gap between a pre-teen boy’s sensory thinking and the official history. He has fragmented and segmented actual memories of picking up leaflets falling down from the sky and using them as a drawing book, which made him perceive the 5.18 Uprising so vividly that he feels it in the bone. The acute sensation of that festival-like day collides with its historical facts, overturning our ‘knowledge’ and turning it into something even more unfamiliar and confusing. Like the ambivalence of light where delight and terror coexist, for Jeongju Jeong, Gwangju and 518 were the raw of a lump of conflicting elements, objects of real senses that we cannot dare to assert that we share.

 

IV. A luminous city, a spectacle of light

 

His continued perceptual experiments are now passing the 1980s and expanding into the neoliberal city. In the 2018-19 works in particular, a variety of colors were used, and since 2021 the work on geometric structures using LED lighting began. And in this exhibition, new works, 27rooms and Luminous City were presented which combine photographed images, lighting, materials, and lighting. His sensory thinking furthers into universal objects such as history and social phenomena, but Jeongju Jeong's works cannot be considered idealism is due to the underlying perceptual method, or his peculiar perceptual ability which is similar to Levi-Strauss's 'savage mind.‘

 

His 27rooms-c2301 is a work that arranges 27 images of urban buildings collected so far, using zoom-in videos of modernist buildings built during the period of Korea's economic growth. The artist's perceptual ability to sense dark parts such as window frames, holes, and gaps in modernist buildings of the 27rooms-c2301 spread through the work. On the other hand, the Luminous City series mainly uses LED lighting, showing not only the obvious spectacle of postmodern neoliberalism, but also the pale emptiness and alienation of urban space. In particular, what is interesting about the Luminous City series is that the spectacle of colorful lights is not kitsch or pop, and religious overtones about transcendence and absoluteness are not completely excluded, which also raises questions for us.

Consequently, Jeongju Jeong's LED lighting works are thought to have dealt with ambivalent elements perceived in urban light, such as secularity and religion, spectacle and nihilism, delight and anxiety, and transcendence and helplessness. The vertical lighting structure, like a Gothic cathedral, enough to recall the phrase, “God said, ‘Let there be light,’ and God saw that the light was good.” is at first glance dressed in the sublimity and religion, but clearly the light is not the one that shines the world like in the Book of Genesis. This LED lighting structure is actually not a subject that illuminates an object, but is merely an electric structure that displays itself by emitting light, no more than a night view seen from an airplane. In other words, it is an indifferent reality of a spectacle of light commonly seen anywhere in neoliberal cities. In this way, the work expresses both sides simultaneously.

This Luminous City is possibly the exhibition that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for the artist himself. It is because the work itself reveals how the various senses of light he has continued to explore since the 1990s have changed. Materiality experiments are no exception in the exploration. In this show, an attempt is made to express dim light by having the lighting reverse its direction and reflect on concrete, glass, or the floor of the show room, rather than pointing towards the viewers or the front. This is presumably intend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perceive various forms that can be sensed through light in the Luminous City series that refuses to be the subject of illumination, but merely emits light on its own.

 

A dark city. In such a city space as a luminous object which is glamorous yet vain, and vibrant yet uncanny, is the light we sense closer to Genesis, or closer to the hysteria of The Stranger

.

빛의 스펙터클, ‘앎’으로부터의 탈주 – 정정주 개인전 《Luminous City》

 

미술사 이상윤(Ph.D)

 

 

“태양의 붉은 폭발은 여전히 그대로였다. 나는 쏟아지는 태양의 열기에 이마가 팽창하는 느낌이었다. 그래서 뜨거운 태양의 엄청난 숨결을 얼굴에 느낄 때마다, 나는 이를 악물었고, 태양과 태양이 쏟아붓는 그 캄캄한 취기를 이겨 내려고 전신을 긴장시켰다.” - 『이방인』 중에서-

 

 

I. 감각의 사고: ‘앎’으로부터의 탈주1

 

인류학자 클로드 레비스트로스(Claude Lévi-Strauss)는 『야생의 사고(La Pensée Sauvage)』에서, 감각에 의존하고, 구체적이며 때론 주술적인 사고가 알려진 바와는 달리, 미개하거나 열등한 것이 아님을 설명한 바 있다. 2000년대까지 정정주의 초기 작업에서도 레비스트로스가 관찰했던 서구의 관념 체계와는 다른, 새로운 사고방식이 비쳐진다. 그의 드로잉은 꿈틀거리는 낯선 생물들, 낮게 저미는 움직임, 혹은 뒤틀린 채 날아가는 형상으로 가득한데, 이는 직접적인 신체감각, 경험, 관찰로 수집해 온 특정 물리적 양태와 유동체에 관한 작가의 유난한 관심의 근거로 충분했다.

다시 말해, 연역적이고 규정적인 ‘앎’보다는 감각적, 구체적, 특정적 지각이 정정주 작품의 토대가 아니었을까 생각해 본다. ‘꽃’이라는 추상 개념이 장미, 국화, 백합 같은 각 개체의 정보를 무리하게 동질화하거나 섣불리 규정하는 ‘앎’의 착각을 일으킨다고 지적한 레비스트로스의 경고는 정정주의 초기 드로잉과 그의 궤적에서 다시 상기되는 듯했다. 이렇듯 그는 우리가 ‘알고 있다’라는 사실을 의심하도록 권하고 있다.

 

II. 확장: 빛, 눈, 카메라, 시선의 정치학

 

그러한 예는 작가가 빛을 지각하고 이를 이미지화하는 데에서도 나타난다. 독일 뒤셀도르프 쿤스트 아카데미 유학 시절, 자신의 방을 비추는 빛을 ‘마치 나의 내부를 혀로 핥는 듯’하다고 감각했던 정정주는 2010-14년 무렵까지 공간 내부를 훑고 돌아가는 카메라와 모니터, 관객의 시선으로 이를 작품화하였다. 빛과 관련한 공포, 불안, 억압, 히스테리의 부정적인 감각은 위에서 인용한 알베르 까뮈(Albert Camus)의 『이방인(L’Etranger)』의 감각과도 매우 닮아있다. 피할 수도 없이 작열하는 태양 아래, 주인공은 압박과 히스테리를 견디다 못해 살인을 저지르게 된다. 미(美)적이지만, 한편 섬뜩하고 창백한 정정주의 이 시기 작품들 역시 이러한 날 선 히스테리의 감각을 드러내었다.

작은 공간을 만든 작품 내부에 소형 카메라를 장착하여 응시로부터 감지되는 힘과 긴장, 곧 시선의 정치를 다룬 정정주의 작품이 이 무렵 신체나 히스테릭 행위와도 연결되는 것 역시, 이 같은 감각의 사고에서 그 이유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나를 타자화하는 시선, 그 시선을 상징하는 섬뜩한 빛과 카메라의 집요한 추적, 피할 겨를도 없이 내부를 훑고 지나는 권력적인 응시는 점차 정치와 역사의 주제로 확장되었다.

 

III. 양가성: ‘앎’으로부터의 탈주2

 

전일빌딩, 옛 전남도청, 상무관, 국군광주병원 등, 정정주의 5.18 민주항쟁 연작들 역시 위와 같은 흐름에서 등장하였다. 하지만, 5.18 민주항쟁을 다루는 정정주의 시각은 매끄러운 역사와는 차이가 있다. 작가가 표현하고 있는 5.18의 기억은 통합적이지도, 총체적이지도, 규정적이지도 않다. 작품 내부에 설치된 소형 카메라와 프로젝터가 만드는 교차하는 선들의 추상 이미지처럼, 정정주가 기억하는 고향 광주와 5.18 민주항쟁은 희고 빛이 나, 더욱 혼란스럽고 섬뜩하였다.

이는 갓 10대가 된 소년의 감각 사고와 공식 역사와의 간극 때문으로 설명할 수 있다. 하늘에서 내리는 삐라를 주워 연습장으로 삼았던 파편화되고 분절된 실제의 기억은 5.18 항쟁을 되려 피부에 와 닿을 정도로 생생히 지각하게 하였다. 축제 같았던 그 날의 날카로운 감각은 역사적 사실과 충돌하면서 우리의 ‘앎’을 전복시키고, 더욱더 낯설고 혼란스러운 것으로 바꾸려 한다. 환희와 공포가 공존하는 빛의 양가성처럼, 정정주에게 광주와 5.18은 양립하는 요소들이 뭉뚱그려진 날것, 우리가 감히 안다고 단언할 수 없는 실제적 감각의 대상이었다.

 

IV. 발광(發光)하는 도시, 빛의 스펙터클

 

그의 계속되는 지각 실험은 이제 1980년대를 관통하여 신자유주의 도시로 확장되고 있다. 2018-19년 작품은 특히 다양한 색채가 사용되었으며, 2021년부터는 LED 조명을 사용한 기하학적인 구조체를 시작하였고, 이번 전시에서는 촬영 이미지와 조명, 물질과 조명을 결합한 <27rooms>, <Luminous City> 등의 신작을 선보였다. 그의 감각 사고는 나아가, 역사와 사회 현상 같은 보편적인 대상으로 확장되었으나, 정정주의 작품을 관념주의라고 볼 수 없는 이유는 그 기저에 놓인 지각 방식, 곧 레비스트로스의 ‘야생의 사고’와도 유사한 특유의 지각 능력 때문일 것이다.

그의 <27rooms-c2301>은 지금까지 수집한 도시 건물 이미지 27개 영상을 배열한 작품으로, 주로 한국의 경제 성장기에 지어진 모더니즘 건축물을 확대한(zoom-in) 영상을 사용하였다. <27rooms-c2301>에는 모더니즘 건물의 창틀, 구멍, 틈과 같은 어두운 일부분을 감각하는 작가의 지각 능력이 배어난다. 반면, <Luminous City> 연작은 LED 조명을 주로 사용하여, 포스트모던 신자유주의의 뻔한 스펙터클뿐 아니라, 도시 공간의 창백한 허무와 소외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특히, <Luminous City> 연작에서의 흥미로운 점이라면, 다채로운 조명의 스펙터클이 키치나, 팝적이지 않다는 것인데, 초월과 절대성에 관한 종교적 색채가 완전하게 배제되지 않았다는 점 또한 우리에게 질문을 던져 준다.

결과적으로, 정정주의 LED 조명 작품은 세속과 종교, 스펙터클과 허무, 환희와 불안, 초월과 무기력 등, 도시의 빛에서 감각되는 양가적 요소들을 다루었다고 생각된다. 마치 고딕 성당 같은 스케일의 수직적 조명 구조체는 “하나님이 이르시되 빛이 있으라 하시니, 보시기에 좋았더라”는 구절을 떠올릴 만큼, 일견 숭고와 종교성의 옷을 입고 있지만, 엄연히 그 빛은 『창세기』처럼 세상을 비추는 빛은 아니다. 이 LED 조명 구조물은 사실 객체를 비추는 주체도 아니며, 단지 비행기에서 내려다본 야경과 다를 바 없는, 발광(發光)함으로써 자신을 표시할 뿐인 전기 구조체, 말하자면 신자유주의 도시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는 빛의 스펙터클이라는 무심한 현실, 양쪽 모두를 동시 언급하고 있다.

어쩌면 이번 《Luminous City》는 작가 자신에게도 기점이 될만한 전시라는 생각이 든다. 1990년대부터 그가 지속하여 온 빛에 관한 다양한 감각의 탐색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작품 스스로가 이를 드러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 탐색 중에는 물질성 실험도 예외는 아니다. 이번 전시에는 조명이 관객이나 전면을 향하는 것이 아닌, 방향을 뒤집어 콘크리트 지지대, 유리 판넬 혹은 전시장 바닥에 반사되도록 하는 어릿한 빛의 표현도 시도된다. 이는 <Luminous City> 연작이 무엇을 밝혀주는 주체이길 거절하는, 단지 스스로 발광하는 전기 구조물로서 빛을 통해 감각 할 수 있는 다양한 형식들을 지각할 기회를 주기 위함으로 생각된다.

어두운 도시. 화려한 듯하지만 허무하고, 활기찬 듯하지만 섬뜩한 발광체로서의 도시 공간 속에서, 우리가 감각하고 있는 빛이란, 『창세기』에 가까운 것일까, 아니면 『이방인』의 히스테리에 가까운 것일까.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