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Series <City of Gaze-Gwangju>, 2018-2020

During my childhood and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in Gwangju, I experienced the Gwangju Uprising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5.18 was when I was in fifth grade. The neighborhood I lived in was Unam-dong, and at that time, it was an outer area and on my way out toward Jangseong. I heard later that the rioters were stationed right past our neighborhood, and maybe because of that, there were no major clashes, and civil forces did not go out through our neighborhood. The biggest memory I remember was when I walked out of the city to buy the center of the boy with my sisters and brothers during the period when the civilian army was in control. Cars were burning on all roads in the city, and they were filled with broken pieces of glass. Adults were gathered under the overpass and talking to each other. The paralyzed city feeling experienced at this time caused me to feel unfamiliar and anxious. And while growing up, I heard various stories of May 18 and about the people who remained in the old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until the end. The fear of the other that I last experienced in the space is reproduced through the gaze of the camera in the work of the City of Staring series.


This work is a work that models the Jeonil Building, the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Sangmu Hall, and the former Gwangju Military Hospital, which are the iconic structures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and installs a small video camera inside it, and projects the images taken by the camera on the wall of the exhibition hall with various techniques. Video cameras that constantly move within the model of historical buildings and capture the exhibition hall and audience inside and outside the model are a medium that connects the historical site of the past and the present audience. And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projected by the video projector on the wall of the exhibition hall floats on the wall like the ghost of a fragmented gaze. The landscape that combines the architectural model and video is an uncanny place where the subject and the other are vaguely mixed and fear and curiosity coexist, just like the image of Gwangju in my childhood.

나는 광주에서 유년시절과 중고등학교 시절을 지내며 80년대 광주항쟁과 민주화운동의 시기를 경험했다. 5.18은 내가 5학년 때 있었다. 내가 살던 동네는 운암동이였고 그때만 해도 외곽지역이고 장성쪽으로 나가는 길이었다. 나중에 듣기로 우리동네를 바로 지나서 진압군이 주둔해 있었고 그 때문인지 시민군이 우리 동네를 통해 나가지 않았고 큰 충돌도 없었다. 내 기억속에 남은 가장 큰 기억은 시민군이 장악하고 있던 시기에 누나, 동생이랑 소년중앙을 사러 시내에 걸어나갈 때의 일이었다. 시내의 모든 도로에는 차들이 불타있었고 깨진 유리조각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어른들은 고가도로 아래 모여 웅성거림 서로 이야기하고 있었다. 이 때 경험한 마비된 도시의 느낌은 나에게 생경함과 불안을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자라면서 5.18의 여러 이야기를 들었고 구 도청에 끝까지 남아있던 사람들에 대해 들었다. 그 공간 안에서 마지막으로 경험했을 타자에 대한 공포, 두려움은 응시의 도시 시리즈 작업 속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 다시금 재현된다. 


본 작품은 광주 민주화항쟁의 상징적인 건축물인 전일빌딩, 구 전남도청, 상무관, 구 광주국군병원을 모형으로 제작해 그 내부에 소형비디오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에 의해 찍힌 영상을 다양한 기법으로 전시장 벽면에 투사하는 작품이다. 역사적인 건축물의 모형 내부에서 서서히 움직이며 끊임없이 모형의 내부와 모형 외부의 전시장과 관객을 찍는 비디오카메라는 역사적 현장인 과거와 현재의 관객을 잇는 매개체이다. 그리고 전시장 벽면에 비디오프로젝터에 의해 투사되는 카메라에 찍힌 영상이미지는 파편화된 시선의 유령처럼 전시장 벽면을 떠돈다. 건축모형과 영상이 결합된 풍경은 내가 경험했던 어린시절의 광주의 이미지와 같이 주체와 타자가 모호하게 뒤섞이고 공포와 호기심이 공존하는 언캐니의 장소이다.
 

Sangmugwan 상무관 (2019)

 

Archtectual model of Sangmugwan made of formboard, 4 video cameras, 4 projectors, motors+dimension variables

The Sangmugwan was used as a body checkpoint where the bodies of the victims who were killed during the 5.18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were temporarily stored and confirmed to their families. It is made of foam board and 4 small video cameras are slowly moving inside the unstable, large and empty model, and the two image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the model and projected to the exhibition wall through the wall of the model. It is shown to the audience in real time. Through this, the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are broken down, the shadows of images and projection lights overlap like layers, and my memories and history, victims and perpetrators,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engraved on the walls of the exhibition hall as illusions.

 

상무관은 518 광주민주화항쟁 당시 희생된 시민들의 시신을 임시 보관하고 가족들에게 확인시켰던 시체검안소로 사용되었다. 폼보드로 만들어져 불안정하면서도 크고 텅빈 모형의 내부에는 4개의 소형비디오카메라가 서서히 움직이며 내부를 찍는다. 이렇게 찍힌 비디오 이미지는 모델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2 개의 비디오 프로젝터를 통해 모델 벽을 통해 전시장 벽에 투사되며, 카메라로 촬영 한 비디오 이미지와 모델 건물의 실루엣이 겹치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안과 밖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영상과 프로젝션 빛의 그림자가 레이어처럼 겹쳐지며 나의 기억과 역사, 피해자와 가해자, 과거와 현재가 환영처럼 전시장 벽면에 새겨진다.   

상무관1.jpg
상무관10.jpg
상무관3.jpg
상무관6.jpg
상무관8.jpg
상무관5.jpg
상무관11.jpg
상무관9.jpg
상무관7.jpg
상무관4.jpg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2019)

 

Archtectual model of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made of formboard, 30 video cameras, 30 monitors, motors+dimension variables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remains a symbolic place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as it clamed the many lives of citizen forces who resisted to the end during the period of the uprising. Several small video cameras were installed inside of the model of the former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made with foamboards, and the spaces inside of the model are shown in real-time through several monitors that are connected to each camera. The monitors are place on the shelves similar to walls, and visitors enter into the gaze of history while walking in the space.

 

(구)전남도청은 민주화항쟁 당시 시민군이 끝까지 저항하며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광주민주화항쟁의 상징적인 장소이다. 폼보드로 제작된 구 전남도청 모형 내부에 다수의 소형비디오카메라를 설치하고 각각의 카메라와 연결된 다수의 모니터를 통해 모형 내부의 공간들이 실시간으로 보여진다. 모니터들은 공간을 이루는 벽처럼 구성된 선반에 놓여지며 관객은 이 공간을 거닐며 역사의 응시 속으로 들어간다. 

전남도청1.jpg
전남도청2.jpg
전남도청4.jpg
전남도청5-2.png
전남도청5-1.png
전남도청5-3.png
전남도청5-4.png
전남도청6-3.png
전남도청6-2.png
전남도청6-4.png
전남도청6-1.png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2019)

 

Archtectual model of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made of formboard, 7 video cameras, 7 video projectors, motors+dimension variable

During the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those who were injured or killed were healed or moved to the main building of the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Now this place which is carved with the traces of sorrow of that time is modeled with foamboards and is displayed widely on the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The feet and movements of the people who walk around the model looking like giants because of its scale are captured by small video cameras installed inside the model. They represent floating souls through the images projected in small sizes on every wall of the exhibition hall in real-time.

 

광주민주화항쟁 당시 사상자를 옮기고 치료했던 장소로 그날의 아픔이 흔적으로 새겨진 구 국군병원의 본관이 폼보드로 모형화되고 전시장 바닥에 넓게 놓여진다. 모형과의 스케일 때문에 마치 거인처럼 모형 주변을 걷는 사람들의 발과 움직임은 모형 내부에 설치된 소형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찍혀지고 실시간으로 전시장 벽면 곳곳에 작게 프로젝션되는 영상을 통해 부유하는 영혼처럼 존재를 드러낸다. 

광주국군병원1.jpg
광주국군병원2.jpg
광주국군병원3.jpg
광주국군병원4.jpg
광주국군병원_수정3.jpg
광주국군병원수정4.jpg
광주국군병원수정2.jpg
광주병원수정_1.jpg
광주국군병원5.jpg
광주국군병원6.jpg
광주국군병원7.jpg
광주국군병원8.png

Jeonil building, Gwangju (2018)

 

Architectual model of Jeonil building in Gwangju made of formboard, 4 video cameras, video projector, 3 motors  

Jeonil Building is a symbolic building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and the first skyscraper that I ever saw. When I went to an academy to prepare for an art entrance exam in the 1980s,  Geumnamno that starts from Jeonil Building was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from the houses in the suburb and was a world filled with the lights of the city, cars and buildings.

In the midst of endless demonstrations in the 1980s, Geumnamno was a symbol of a paralyzed city packed with crushed pieces of rocks, firebombs and tear gas. Jeonil Building remainde in place as a symbol that provides me a welcoming sense about the city and the future as well as the deafening of the paralyzed city.

Four small cameras placed inside the model of Jeonil Building made with foam boards capture the repetitive pillars inside the model, empty spaces and visitors in real-time and they project images on the walls of the exhibition behind the model.

전일빌딩은 광주민주화 항쟁의 상징적인 건물이면서 동시에 내가 처음 본 고층빌딩이기도 했다. 80년대 미술입시를 준비하며 학원을 다닐 때 전일빌딩부터 시작되는 금남로는 외곽의 집과는 너무 다른 세계, 도시의 빛과 자동차, 상가들로 가득 찬 세계였다. 그리고 끊임없이 반복되던 80년대의 데모 속에서 금남로는 돌조각과 화염병, 최루탄으로 가득 찬 마비된 도시의 상징이었다. 그 장소를 지켜온 전일빌딩은 나에게 도시와 미래에 대한 환영과 동시에 마비된 도시의 먹먹함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상징이다. 

폼보드로 만들어진 금남로 모형의 내부에는 4대의 소형비디오 카메라가 모형 내부의 반복되는 기둥과 텅 빈 공간, 외부의 관객들을 실시간으로 찍으며 모형 뒤 전시장 벽면에 영상을 투사한다.

전일빌딩
전일빌딩3.jpg
전일빌딩4.jpg

Light of Gwangju  (2020)

Light of Gwangju, 2020, 3d animation, variable size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