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ongju Jeong’s solo exhibition 《Luminous City》 - Interview, 2024
Jeongju Jeong
1. This is your first solo exhibition in Gwangju in 19 years since your last one in 2005 at the Gwangju Media Art Platform. What aspects did you focus on while preparing for this exhibition?
I wasn’t aware it had been so long since my last solo exhibition in Gwangju. I’ve participated in various curated exhibitions by Gwangju cultural and art institutions, so realizing there’s been a 19-year gap for a solo show in Gwangju was quite surprising. During this time, my work has undergone various changes. Particularly after 2010, I paused my existing work with building models, videos, and cameras. Instead, I gave my building models various sculptural transformations, incorporating performancecentered videos within them or simplifying the models to more sculptural structures by omitting the videos. Recently, I’ve been experimenting with a series combining video work, architectural sculptures, and media, which I began early in my studies abroad. The beginning of this series was my solo exhibition in Seoul last year (2023), and I am currently in the process of deepening and developing it further with this solo exhibition in Gwangju. This opportunity to present my work in Gwangju again at such a crucial point is very meaningful to me.
2. You have been developing your artistic world for nearly 30 years.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your work during different periods?
In fact, the concrete flow of my work began during my study abroad in Germany in 1997. From 1998, I observed light and processed its movements sculpturally. At some point, I started placing real-time captured videos alongside the light, marking the beginning of my serious work. For nearly ten years until 2007, my work expanded through various city series and structures with cameras installed inside buildings, showing these elements externally. Around 2010, I decided to remove the cameras, arrange building models with videos of people’s performances, or entirely exclude videos and transform the models into simpler or mixed sculptural forms.
In this process, I found it fascinating to observe the stories of the people performing, especially their reactions to wounds received from others. I noticed these behaviors were similar to the images of buildings I had been working on. For example, just as buildings can have both closed and open spaces, they also have various relational dynamics with their surroundings. I explored these connections between the concept of the Other and the structures of buildings in my series until around 2018. Afterward, I focused on more sculptural directions, simplifying elements in a minimalist approach and incorporating light into the sculptures. This led to a desire to unify my early work, performance videos, and sculptural works. Over the past two years, I’ve been integrating these changes, combining performance videos, sculptural works derived from buildings, and architectural combinations. Additionally, I reintroduced the real-time video camera, a familiar element from my work, to interact with the images, sizes, and sculptural structures in a new series.
3. You majored in sculpture in college and started working with light during your studies in Germany. How did your experience and sensitivity to ‘light’ lead to your current video installation works, and what is the continuity between your past and current works?
Interestingly, my focus on light began with an experience involving crocodiles during a trip to India in 1995. At a crocodile park, I saw thousands of motionless crocodiles. When a keeper threw meat, they all moved simultaneously, which was a huge shock to me. This movement reminded me of the slow movement of light in my small room. This led me to focus on work centered around the experience of light. I’ve always been interested in the intense forces embedded in stillness, such as the slow movement of light coming from an almost unfathomable distance (the sun) into our everyday spaces.
This fascination with light’s subtle motion mirrored the immense fear I felt at the crocodile park. Observing light’s movement made me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ght and architectural spaces. I began using video cameras to capture light as a perspective. The real-time video displayed outside the model space evoked a sense of latent fear, similar to the fear I felt in the crocodile park. For instance, when looking at the reduced scale models, the real-world viewers seemed like a giant another dimension, triggering both fear and curiosity.
4. You’ve showcased various forms of work inspired by architectural spaces and places. How do light, perspective, and space interact in your sculptural works?
One thing I realized while working on recent projects is that artistic work is cyclical. As my work progresses, earlier periods serve as references. Architectural space is a rectangular world of straight lines, with light interacting at angles, creating a world of organic movements. When light and perspective move within a single space and time, continuous interactions occur between the observer’s subjectivity and the outside world. These encounters present us with unfamiliarity, mixing fear, anxiety, curiosity, and pleasure. The ambivalence of these experiences is an extension of my early work.
5. How does the theme “Luminous City” in this exhibition compare to your previous works in terms of specificity and meaning?
This exhibition and last year’s solo show are still being processed. I’m focusing more on light, particularly the interplay between natural light revealing images and artificial light of our times. LED light sources are widespread in our daily lives, not just in architectural lighting but also in display devices like billboards and TVs. These light sources have become tools for reproducing the world as images, forming the core of our virtual or artificial environments. Natural light is beautiful and evokes reverence akin to divine realms, while artificial light offers diverse information and beauty but also symbolizes and evokes discourses within the capitalist system. The curiosity, anxiety, and fear I experienced with natural light are mirrored with artificial light in “Luminous City.” This exhibition showcases images based on these themes and videos related to individuals. Videos include people reacting to external stress, footage of friends’ living rooms in my apartment complex, and zooming in and out on urban architecture. These scenes are displayed through LED monitors or projections, using reflection and occlusion to create intentional distortions. Light in the works interacts with each other, with video images rotating through the exhibition space, intervening in different spaces. This dynamic interaction of artificial light metaphorically represents ambivalent emotions like fear and joy, relating to the urban and light experiences in our daily lives.
6. You’ve worked with special locations in Gwangju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such as the former Jeonnam Provincial Office and Jeonil Building. What does Gwangju mean to you as an artist?
Gwangju is a significant motif and driving force in my work. I lived in Gwangju from childhood to high school and experienced the Gwangju Uprising when I was in fifth grade. The unfamiliar world during that time—sudden school closures, helicopters scattering leaflets, gunshots at night, and chaotic scenes—felt surreal and terrifying. These memories conveyed a latent fear that influenced my work. Throughout the 1980s, the city experienced frequent protests and disruptions, with tear gas and demonstrations being common occurrences. Places like the Jeonil Building and the former Provincial Office were part of my daily commute to my art academy, marking my first encounters with urban space. The memories of the city and the Gwangju Uprising have consistently influenced my work’s ambivalence. I hesitated to work on Gwangju-related projects, feeling it would expose all my core emotions. However, from 2017, I began creating works based on locations like the Jeonil Building and the former Provincial Office using building models and cameras. This process helped me resolve many thoughts and emotions.
7. How does the sensory experience of light in works like “Noise 24-01,” “Luminous City 24-02,” and “Metaphysical Star 24-01” go beyond visual experience to embody the pluralism of light’s sense?
“Noise 24-01” primarily features a performance video addressing stress and healing. Unlike previous works with videos inside building models, this piece involves a mirror and LED screen in a right-angle configuration. The life-sized installation shows a person acting or talking within the space. I’ve made colors in the video more visible, incorporating moving images on urban spaces or architectural surfaces. This integrates my series so far, metaphorically representing thoughts and emotions related to wounds and healing. “Metaphysical Star 24-01” uses mixed structures derived from my architectural works since 2010. I combined parts from four locations into a star shape, symbolizing various sociocultural concepts like religion and politics. This process of disintegration and reassembly of architectural structures intends to evoke metaphor and symbolism.
8. What do you hope viewers experience when engaging with your work, and what are your future plans?
As an artist, I have a strong desire to form a connection with the audience. Although appreciation can be subjective, I hope viewers enjoy and resonate with the visual beauty and impact of the interactions between light and visual elements in the exhibition space. I plan to continue my work actively and create compelling exhibitions. This exhibition is not a conclusion but a step in my ongoing development. I aim to expand my work in various direction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continuing my journey as an artist.
정정주 개인전 《Luminous City》 인터뷰, 2024
정정주
1. 이번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에서의 초대전은 2005년 광주 전시 이후 광주에서 19년 만에 갖는 개인전이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주안점을 둔 부분은?
저도 그렇게 오랫동안 광주에서 개인전을 갖지 않았던 부분에 대해 인지하기 못했다. 광주 문화예술기관의 다양한 기획전에 참여해 왔기 때문에, 막상 광주에서 19년 동안의 공백이 새삼 놀라웠다. 그 사이 제 작업에 다양한 변화들이 있었다. 특히, 2010년 이후로 기존에 해오던 건물 모형과 영상, 그리고 카메라를 이용한 작업들을 잠시 멈추고, 건물 모형에 다양한 조형적인 변형을 주어 그 안에 퍼포먼스 중심의 영상을 삽입시키거나, 오히려 영상을 빼고 건물 모형을 좀 더 단순화해서 조각적인 구조로 변화시키는 작업들을 지속했다.
그리고 최근에는, 유학 초기부터 시작했던 영상 작업과 건축적인 조형, 그리고 미디어를 결합하는 시리즈 작업을 시도하고 있는데, 그 시작이 작년(2023년)에 서울에서 가졌던 개인전이었고, 이번 광주에서의 개인전을 통해 좀 더 심화하고 발전시키는 과정에 있다. 저에게는 굉장히 중요한 시기에 다시금 광주에서 작품을 선보일 수 있어 굉장히 의미있는 자리라고 생각한다.
2. 30여 년 가까이 작품세계를 일구어왔다. 시기별 작품세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사실상, 1997년 독일 유학 시절부터 작업의 구체적인 흐름이 생기기 시작했다. 1998년부터 빛을 관찰하고 빛의 움직임들을 조형적으로 처리하는 작업을 하다가, 어느 순간 빛과 함께 카메라에 실시간으로 찍히는 영상을 서로 배치하는 방식으로 본격적인 작업이 시작됐다. 2007년까지 10년 가까이 다양한 도시 시리즈와 건물, 건물 안에 장치된 카메라, 또 그것들이 밖으로 표출되는 형식 등의 구조로 작업이 확장됐다.
2010년쯤부터는 카메라를 한번 빼보자는 생각이 들어, 건물 모형과 사람들의 퍼포먼스를 담은 영상을 같이 배열 하거나, 영상을 완전히 배제하고 건물 모형이 조금 단순화 되거나 서로 혼합되는 조형 작업들로 변화를 주었다. 그 과정에서 퍼포먼스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특히,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타인으로부터 받은 상처와 그에 반응하는 행동들을 굉장히 흥미롭게 지켜보면서, 여타의 행동들이 제가 진행해 왔던 건축물들의 이미지들과 유사하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예를 들면, 건축물도 굉장히 폐쇄적인 공간도 있고, 또 굉장히 개방적인 공간도 있지만, 그 건축물 안에는 외부 에서 내부로 진입하거나 다시 내부에서 밖으로 나가는 식의 다양한 관계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타자에 대한 생각과 건물의 구조들 간에 관계성을 만들어 내는 시리즈 작업을 대략 2018년까지 진행했다.
그 이후로 보다 조형적인 방향, 어떤 면에서는 요소를 좀 더 단순화시키는 미니멀리즘적 입체 작업과 함께 빛이 포함된 조형 작업을 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초기 작업부터, 퍼포먼스 영상 작업, 조형 작업을 하나로 묶어보고 싶은 욕구가 생겼다. 2년 전부터 이와 같은 변화를 주는 과정이고, 최근 들어서는 퍼포먼스 영상, 건축물로부터 파생한 조형 작업, 건축물과의 조합을 시도했다. 또한, 관객과 반응 하는 요소로서 익히 사용했던 실시간 비디오 카메라를 다시 등장시켰고, 영상의 이미지 혹은 크기, 조형적인 구조 등 이 세 가지 요소가 함께 반응하는 시리즈를 진행하게 됐다.
3. 대학시절 조소를 전공하고, 독일 유학시기 빛에 대한 특수한 경험에서 작업이 시작되었다. ‘빛’에 대한 경험과 감각, 그리고 ‘공간’에 주목하면서 영상 설치작업을 진행,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전통적인 구조물 작업에서 빛을 키워드로 한 미디어아트 형식의 작업으로 전이됐다. 그 과정에서 이전 작업과의 연계성 및 현재까지 이어지는 작업의 영속성은 무엇인가?
제가 독일에서 빛에 대해 주목하게 된 계기는 재미있게도 악어에서 유래한다. 1995년 인도 여행 시 악어 공원에 갔었는데, 그곳에 수천 마리의 악어 떼들이 움직임 하나 없이 가만히 있는 모습을 목격했다. 사육사가 고기를 던져주니까 그 많은 악어들이 동시에 파드닥하고 움직이는 모습을 봤는데, 그게 저에게는 엄청난 충격이었다. 꿈틀거리면서 나아가는 그 움직임이 빛이 내 작은방에서 서서히 움직이면 서 이동하는 모습과 비슷하다는 느낌을 받았고, 이후 빛에 대한 경험을 주제로 한 작업에 집중하게 되었다. 고요함 속에 내재 돼 있는 격렬함 혹은 충격들과 같은 어떠한 힘에 대해 흥미가 있었던 것 같다. 우리가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느리게 이동하는 빛의 움직임도 사실 그 빛의 출발점은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먼 거리에 있는 태양으로 부터 와서, 우리 일상의 공간 안에서 미세하게 움직인다. 빛에 대한 공포는 악어 공원에서 느꼈던 거대한 공포감과 유사했다.
빛의 움직임을 계속 관찰하다 보니까 건축물의 공간과 빛의 관계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고, 더 나아가, 빛을 경험하기 위한 시점으로써 비디오카메라를 사용하게 됐다. 카메라가 찍은 영상을 모형의 바깥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보여주므로, 모형 안에서 바라보는 카메라의 시점과 그것을 다시 보게 되는 관객들의 시점 차이에서 제가 느꼈던 잠재된 공포의 감정이 유래되었다. 예를 들면, 모형은 항상 10분의 1이나 20분의 1로 축소되는데, 그 축소된 세계에서 바라보는 실제 세계의 사람들은 마치 가상의 세계 혹은 거대한 다른 차원의 사람들이 그 카메라 시선을 들여다보는 것 같은 낯선 조우와 함께 공포의 감정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형태이다.
4. 그동안 건축공간과 장소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형식의 작품을 선보여왔다. 빛과 시선, 공간의 상호작용을 내용으로 한 조형작업을 지속하고 있는데, 작가에게 있어 빛, 시선, 공간은 각각 어떤 내용성과 형식을 띠는가?
최근 작업들을 진행하면서 느꼈던 것은 작업은 돌고 도는 점이라는 사실이다. 작업이 진척될수록 시기적으로 앞선 시기의 제 작업이 참조 역할이 됐다. 건축 공간은 직선으로 이루어진 사각의 세계이고 그것에 관여한 빛은 항상 사선의 형태가 발생하는 세계이지 않냐. 빛은 정면으로 비춰지는 게 아니라 그 빛에 보통 각도가 생기고, 그 안에서 작용하는 시선은 굉장히 다양한 동선을 가지고 있는 유기적 움직임의 세계이다. 이러한 빛과 시선은 서로 한 공간과 한 시간 안에서 움직였을 때, 시선의 주체로서의 주체성과 바깥 세계와의 조우가 끊임없이 일어난다. 이러한 조우는 순간적으로 우리에게 낯섦을 선사하고, 그 낯섦에는 약간의 공포감과 불안, 그리고 호기심과 반가움이 동시에 존재한다. 그 경험의 순간이 지니는 양가성은 저의 초기작업과 연장선상에 있다.
5. 이전의 작품성향과 비교해, 이번 전시의 주제 ‘Luminous City’는 어떠한 특수성과 의미를 갖고 있는가?
이번 전시도 그렇고 작년의 개인전도 그렇고 아직 과정 중이다. 기본적으로 빛에 조금 더 주목하고 있다. 빛은 자연광과 그 자연광에 의해 드러나는 이미지들, 즉 자연이든 건축공간이든 이런 자연광과 관련된 빛의 내용과 함께, 또 다른 지점은 인공광이라고 불리는 우리 시대의 빛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특히, LED 광원은 우리 일상에 광범위하게 퍼져있다. 건축물의 인공적인 조명뿐만 아니라 전광판, TV 등 모든 디스플레이 기기 안에 LED 조명이 들어가 있다. 이 광원은 세계를 이미지로 재현하는 하나의 도구가 되었다. 우리 일상을 구성하는 가상 혹은 인공 환경을 만드는 주요 요소이다.
자연광은 매우 아름답고, 신의 세계와 같은 경외감을 불러 일으킨다. 인공광 또한 우리에게 다양한 정보와 아름다움을 선사하지만, 동시에 자본주의 체계 안에서 다양한 상징성과 담론들을 불러일으킨다. 자연광에서 경험했던 호기심, 불안과 공포를 이 인공광에서도 마주하게 된 것 같다.
이번 ‘Luminous City’전에선 언급한 내용에 기반한 이미지들과 개인과 관련된 영상작품들을 대거 선보이고 있다. 개인이 외부의 스트레스에 관해 반응하는 행동들을 담은 영상, 제가 살았던 아파트 단지 내 지인들의 거실을 회전 하는 카메라로 찍은 영상, 도시 건축물의 창이나 어두운 부분들을 줌인, 줌아웃을 반복해서 찍은 시리즈 작품 등 매우 일상적이고 사람들 속에 스며들어 있는 장면들을 LED 모니터라든지 프로젝션을 통해서 보여준다.
이러한 장치에 의한 이미지들에 반사 및 가림 효과 등을 통해서 항상 왜곡 작용을 의도한다. 작품 안의 빛들은 서로가 서로에게 계속 관여를 하게 되면서, 다른 작품에 발광하는 붉은색의 빛으로 비춰지거나, 비디오 영상은 지속적으로 전시 공간 안을 회전하면서 다른 공간에 개입한다. 이렇듯, 인공광들의 역동성은 제 작업에서 보여주는 긍정과 부정, 불안과 호기심, 공포와 희열과 같은 양가적 감정들에 대한 하나의 은유의 풍경이라고도 볼 수가 있다. 또한, 우리가 일상 안에서 경험하는 도시와 빛, 그리고 타자에 대한 일련의 공간적인 구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시 작품 중 <응시>라는 작업이 있다. 이 작품은 일상의 장면으로서가 아니라 마주하는 빛, 즉 라캉의 응시 개념에서 차용을 한 작품이다. 두 개의 마주하는 삼각뿔의 모습을 기계적이고 미디어적인 관점으로 재현을 해본 거다. 가까워졌다가 다시 멀어지는 프로젝터에 카메라를 장착해서 그 카메라가 프로젝션을 통해서 맞은편 카메라와 프로젝션을 향해 빛을 비추게 하는 작업이다. 두 대의 마주하는 장치가 근접했을 때는 난반사를 일으키면서 폭발하는 빛의 이미지를 만들어 낸다. 나와 세계, 나와 타자들 간의 관계가 굉장히 다양한 감정과 관계들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상징했는데, 관객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해 보았다.
6. 구 전남도청, 전일빌딩, 광주국군병원, 상무관 등 광주의 역사성이 담긴 특수한 장소를 소재로 다양한 작업들을 보여주었다. 작가적 측면에서 광주는 의미는?
제 작업 속에서 광주는 중요한 모티브이자 작업을 진행 하는 원동력이다. 저는 광주에서 유년 시절부터 고등학교 때까지 거주했고, 국민학교 5학년 때 5·18을 겪었다. 그때 경험 했던 낯선 세계, 예를 들어 학교의 갑작스러운 휴교령, 사람들은 모두 웅성거리고 하늘에서는 헬리콥터가 날아다니면서 삐라를 뿌려댔다. 또한, 집 바로 옆에 있는 빵 공장으로는 트럭을 탄 아저씨들이 와서 빵을 계속 실어 갔고, 밤에는 총소리가 들렸다. 논밭이 있던 마을까지 사람들이 와서 쫓겨 다니는가 하면, 도로에는 불탄 차들과 깨진 유리 조각들이 가득 차 있었다. 그 장면들이 마치 환상과 같았다. 실재감이 아니라 이게 뭘까 하는 신기한 일이 벌어졌는데,매우 공포스러운 일이었다. 그러한, 기억들이 제가 언급했던 잠재된 공포감 등을 전달해 줬던 것 같다. 그 이후 80년대에는 1년에 한두 번씩 도시가 몇 주씩 마비 되고, 데모가 있고 최루탄이 터지는 등의 상황들이 계속 반복됐다. 전일빌딩이나 구 전남도청은 제가 입시미술학원 을 다니면서 매일 오고 가는 장소였고, 또한 도시라는 공간을 처음 경험하게 한 곳이었다. 도시와 5·18의 기억, 그리고 그 안에서 만들어진 제 작업의 양가성은 굉장히 일관되게 흘러왔다. 이러한 연유로 광주와 관련된 작업을 진행하고 싶었는데, 이 작업을 보여주면 제 알맹이들을 모두 공개해 버리는 것 같아서 머뭇거렸다. 2017년부터는 해왔던 대로 건물 모형을 만들고 카메라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전일빌딩, 전남도청, 국군병원, 상무관 등을 소재로 작품을 만들게 되었다. 이후로 여러 생각들이나 감정들이 많이 해소가 됐던 것 같다.
7. <Noise 24-01> <Luminous City 24-02><Metaphysical Star 24-01>에서 보이는 빛에 대한 감각은 단순히 시각적 경험이 아닌, 빛 감각의 다원성을 지닌다. 작품들에서 드러나는 공간 혹은 장소성은 빛의 경험과 관련하여 어떠한 속뜻을 지니는가?
작업은 외부로부터 받은 스트레스 및 상처에 대한 치유의 방식을 보여주는 퍼포먼스 영상이 주가 되는 작품이다. 이전 작업에서 건물 모형 안에 영상이 들어갔다면, 이번 작업에선 모형이 아닌 거울과 직각 형태로 놓인 LED 전광판을 구성해 보았다. 작품의 사이즈는 실제 인물 크기이고, 그 안에 등장하는 사람은 마치 그 공간 안에서 무언가 행위를 하거나 어떤 이야기를 하는 것과 같은 모습을 보여준다. 근작에서부터 영상 안에 색채를 더욱 가시화했고, 도시 공간 혹은 건축 표면에 움직이는 이미지들을 포함시켰다. 이것은 제가 지금까지 지속한 시리즈들을 통합하는 하나의 시도라고 생각한다. 어떻게 보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내면의 생각들, 감정에 대한 일련의 제스처들이다. 상처와 치유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화, 변수들에 대한 하나의 은유로서 의식의 흐름과 도 같이 영상의 흐름을 조정했다.
작품의 혼합된 구조물의 모습은 제가 2010년부터 지금까지 작업했던 건축물의 부분들에서 연유했다. 다뤄왔던 장소에서 네 개의 장소를 별의 형태로 서로 직교하고 삽입시키는 방식으로 작업했다. 별은 물리적인 형상인데 그것이 상징성을 가지게 되면서 종교, 정치 등 여러 사회문화적인 상징체로 바뀌게 됐다. 장소성이 수반된 건축물이라는 물리적인 구조가 분열되고 다시 재조합되는 과정에서 은유와 상징을 의도했다.
8. 작가와 작품 향유자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바라볼 때, 관람객이 본인의 작업을 보면서 무엇을 느끼길 원하는가? 더불어, 앞으로의 작업 방향과 계획은 무엇인가?
보통 작가 입장에서는 관객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싶어 하는 욕구가 굉장히 크다. 공감이라는 것은 취향의 문제이기도 하지만, 그래도 제 작업이 전체 전시 공간 안에서 빛과 시각적인 관계를 통해서 서로 공유되고, 그 공간 안으로 관객이 개입해서 작업들 간에 만들어지는 조율, 혹은 부딪침에서 생겨나는 시각적인 아름다움, 충격 따위들을 보는 이들이 즐기듯이 공감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앞으로도 작업을 활발하게 지속하면 서 좋은 전시들을 만들어 나가고 싶다. 이번 전시의 주제 또한 종착점이 아니라, 보다 발전 시켜나갈 생각이다. 발전의 과정에서 파생되는 다양한 방향의 작업들을 국내외로 계속 확장시켜 가면서 작가로서의 활동을 이어나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