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the Light comes out of the Sun
2021. 11. 30 - 2022. 3. 27
Jeonnam Museum of Art, Gwangyang, Korea
전남도립미술관
《When the light comes out of the sun》
"Sunlight that passes through this clear atmosphere penetrates even the deepest points of objects with energy almost equal to that when it comes out from the sun."
Oh Jiho, "Nature and Art", First Issue of The New Generation, March 1946
Following the opening exhibition Beneath the Mountain, Along the water staged in March. Jeonnam Museum of Art seeks to examine the oeuvre of artists who constitute the heart of the art history of Jeonnam (Jeollanam-do). When the Light Comes Out of the Sun starts with the works of Oh Jiho (1906-1982), born in Hwasun, Jeollanam-do, and highlights the evolution of art in the Jeollanam-do region to this day. The traditions of Jeolla-do's art scene, which shifts from figurative art to abstract art, have been generally focused on forms, but this exhibition draws attention to colors in understanding the flow of art in the region. The premise is that the environment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Jeollanam-do, located in the relatively warm chimate region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are also refected in the colors of artworks.
Oh Jiho is widely known as an artist who reinterpreted and adopted Impressionism in line with the Korean art scene. His character is also evident in the writing he contributed to the first issue of The New Generation. The title of this exhibition, which is also an excerpt from Oh's contribution to the magazine, is a written expression of the moment when light that departed from the sun and was refracted by an object enters the human eye and is perceived as a color. Then, what is the "Korean Impressionism" that Oh wanted to realize and what impact did the process of his explorations have on artists of later generations? When the Light Comes Out of the Sun seeks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rough colors from the nature and light of Korea.
Oh Jiho recorded the changes of nature throughout the year in detail and was deeply intrigued by the transformations of landscape with time. The process of his work draws parallels to Impressionism in the West, which used everyday scenes, particularly the landscape under the sun of Provence in southern France, as its subjects. As Yang Sooa, Na Jeomseok, Oh Jiho, and other key members of the Jeolla-do art scene influenced each other, this exhibition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s between Oh Jiho and other Jeollanam- do artists, including those who came after him, such as Yang Sooa, Ko Whahum, Yoon Jaewoo, Yim Jik Soon, Choi Jong-seob, Jung Yungyul, and Woo Jaegil. The exhibition also explores the colors of Jeollanam-do through the works of six contemporary artists - Son Bong-Chae from Hwasun, Jeollanam-do, Song Philyong from Goheung, Jeollanam-do, as well as Choi Sukun, Yee Soo Kyung, Byun Younmi, and Jeong Jeongju. These six were either influenced by Jeollanam-do, which is home to some, or visualized the scenes of Jeollanam- do as seen through the eyes of an observer during their stays in the region. These artists re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distinct to Jeollanam-do in their unique contemporary visual languages, such as painting, sculpture, and installation. This exhibition highlights, in particular, that the scenery of mountains and streams in the region and the influence of Jeollanam- do's climate on art have been inherited over the years, all the way to the artists of today.
When the Light Comes Out of the Sun brings together the oeuvre of artists, from Oh Jiho to contemporary artists, to explore the flow of art in Jeollanam-do and its identity through works that reflect the colors of the region. Moreover, this exhibition will help raise the historical value of art from Jeollanam- do by rediscovering its beauty through colors and investigating the mutually influential relationships between artists who have ties to the region.
《태양에서 떠나올 때》
“이 맑은 대기를 통과하는 태양광선은 태양에서 떠나올 때와 거의 같은 힘으로써 물체의 오전에까지 투철한다."
오지호, 「자연과 예술」, 『신세대』 창간호, 1946.3
전남도립미술관은 3월에 열린 개관전 <산을 등지고 물을 바라보다>에 이어, 전남미술사의 주된 맥을 형성하고 있는 작가들의 작품세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전시 <태양에서 떠나올 때>는 전라남도 화순 출생의 오지호(1906-1982)를 그 시작점으로 하여, 남도의 미술이 현재 시점까지 이른 양상을 추적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구상에서 추상으로 이어지는 호남 미술계의 전통이 지금까지 주로 형상의 측면에 집중되어 왔다면, 본 전시는 색채에 집중하여 전남 미술의 흐름을 읽어보고자 했다. 이는 전남지역이 비교적 따뜻한 남부 기후지역에 속해있으며 이러한 환경적·지역적 특성이 작품의 색채에도 투영되었음을 전제로 한다.
주지하듯이, 오지호는 인상주의를 한국의 풍토에 맞게 재해석하고 구사한 작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이런 면모는 신세대 창간호에 기고한 글에서도 드러나는데, 본 전시의 제목이자 오지호가 쓴 문장은 태양에서 출발한 빛이 사물에 맞고 반사되어 사람의 눈에 들어와 색채가 되는 순간을 표현한 것이다. 그렇다면 오지호가 구현하고자 한 '한국적 인상주의'란 무엇이며, 이러한 탐구 과정은 후대의 화가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 <태양에서 떠나올 때>는 한국의 자연과 빛에서 출발한 색채를 매개로 이 같은 질문에 대한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했다.
연중 자연의 변화를 세세하게 기록하고, 시간에 따른 풍경의 변화에 깊은 관심을 두었던 오지호의 작업 과정은 일상적인풍경들, 특히 프랑스 남부의 프로방스 지방 햇살 아래 풍경을 소재로 삼았던 서양의 인상주의와도 닮은 측면이 있다. 뿐만 아니라 호남 미술계의 주된 축을 이루었던 양수아, 나점석 등과 오지호는 서로 영향관계 하에 있었다. 그에 따라 본 전시는 오지호 뿐 아니라 이후로 이어지는 양수아, 고화흠, 윤재우, 임직순, 최종섭, 정영렬, 우제길 같은 전라남도가 배출한 화가들 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나아가, 전남 화순 출신인 손봉채, 전남 고흥 출신인 송필용을 비롯한 최석운, 이수경, 변연미, 정정주 6명의 동시대 작가들을 통해 남도의 색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들은 고향인 전남의 영향을 받았거나 전남에서 머물며 관찰자 시점에서 바라본 남도의 풍경을 시각화 한 동시대 작가들로, 남도가 가진 특색을 각각 회화, 조각, 설치 등 자신들만의 현대적 조형언어로 재해석하였다. 특히 이 전시에서는 남도 지역이 가지고 있는 산천의 풍광과 기후의 영향이 동시대 작가들까지 이어졌음에 주목하였다.
<태양에서 떠나올 때>는 오지호의 작업세계를 시작으로, 동시대 작가들까지 아우르며 남도의 색을 담아낸 작품들을 통해 전남 미술의 흐름과 정체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더불어 이번 전시를 통해 색으로 바라본 남도의 또 다른 아름다움을 재발견하고, 작가들 간의 상호 영향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그 역사적 가치를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metaphysical star21-2, 2021, stainless steel, led light, dimention variable
Jeong Jeong Ju observes changing light and attempts to structuralize that light. His works emanate from his interest in the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of the afterimage creat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moving light into structure. Jeong's interest in light developed from a frightful memory from his years studying abroad in Germany; light that entered his small room through a window slowly scanned the entire room and then disappeared as if it had "licked" the room and left. To Jeong, light is a form of “other" existence, whether it is a divine being or a social system.
<Metaphysical Star>, which he presents in this exhibition, is an abstraction of the movement of light made by windows on buildings as three dimensional light structures. Its artificial LED light resembles stars, and the colors that radiate from it seem to represent the colors of Jeollanam-do.
정정주는 변화하는 빛을 관찰하여 구조화시키는 시도를 한다. 작가는 움직이는 빛을 구조로 바꾸는 과정에서 생긴 잔상의 형태적 변화에 관심을 갖고 작업을 해왔다. 빛에 대한 관심은 독일 유학 시절 작은 방에 창문으로 들어온 빛이 방 전체를 마치 핥듯이 서서히 움직이면서 사라지는 모습이 공포스러웠던 기억에서 비롯됐다. 정정주에게 빚은 신적인 존재이든, 사회 체제이든, 작가의 내면을 스치고 지나가는 타자적인 존재이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metaphysical star>는 건축물의 창을 통해 만들어지는 빛의 움직임을 입체적인 빛 구조로 추상화한 작품이다. LED의 인공 빛은 마치 별을 연상시키며, 뿜어져 나오는 색은 남도의 색을 대변하는 듯하다.
Light plain 21-1, 2021, stainless steel, led light, 120x120x5cm
Light plain 21-2, 2021, stainless steel, led light, 120x120x5cm
Light plain 21-8, 2021, stainless steel, led light
Transfer2017, 2017, 3D animation, framed monitor
curved passage ,2017, 3D animation, framed monitor
Crash, 2011, 3D animation, framed momitor
Red hall, 2019, 3D animation, framed mon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