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Invisible Light

2019. 10. 31 - 11. 22

Gallery Chosun, Seoul, Korea

​갤러리 조선              

《Invisible Light》

I spent my childhood and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in Gwangju and experienced the Gwangju Uprising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the 1980s. The memories and atmosphere of the city experienced in Gwangju during this period are represented by burned cars, broken glass filling the roads, and symbolic buildings such as Jeonil Building, a high-rise building around Geumnam-ro, Provincial Office, and Sangmu Gwan. The interior of the Sangmu Building model to be shown in this exhibition is empty and full of light. And the video camera footage of the interior of the model and the light is displayed in real time through video projection on the wall of the exhibition hall. This exhibition starts from the history, place, and memories of Gwangju, which are clues to anxiety, and connects to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light as a medium, and a space of welcome. Through this, we aim to reveal cross-sections of individuals, society, memory, and history, and draw three landscapes that are experienced through memories, senses, and emotions instead of being seen through light.

보이지 않는 빛

나는 광주에서 유년시절과 중고등학교 시절을 지내며 80년대 광주항쟁과 민주화운동의 시기를 경험했다. 이 시기 광주에서 경험한 기억와 도시의 분위기는 불탄 자동차와 도로를 메운 깨진 유리조각들, 금남로 주변의 고층빌딩인 전일빌딩과 도청, 상무관과 같은 상징적인 건물들로 대변된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일 상무관 모형의 내부는 텅 빈 상태로 빛으로 가득 차 있다. 그리고 모형의 내부와 빛을 찍은 비디오카메라의 영상은 전시장 벽면에 비디오프로젝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여진다. 이번 전시는 불안의 실마리인 광주의 역사와 장소, 기억에서 출발해 빛을 매개로 한 타자와의 관계, 그리고 환영의 공간으로 연결된다. 이를 통해 개인과 사회, 기억과 역사에 대한 단면을 드러내며 빛에 의해 보여지는 대신 기억과 감각, 감정을 통해 경험되는 세계의 풍경을 그리고자 한다.

Sangmugwan 상무관 (2019)

 

Archtectual model of Sangmugwan made of formboard, 4 video cameras, 4 projectors, motors+dimension variables

폼보드로 만들어진 상무관 모형, 4 비디오카메라 4 비디오프로젝터, 4모터+가변설치

The Sangmugwan was used as a body checkpoint where the bodies of the victims who were killed during the 5.18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were temporarily stored and confirmed to their families. It is made of foam board and 4 small video cameras are slowly moving inside the unstable, large and empty model, and the two image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the model and projected to the exhibition wall through the wall of the model. It is shown to the audience in real time. Through this, the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are broken down, the shadows of images and projection lights overlap like layers, and my memories and history, victims and perpetrators,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engraved on the walls of the exhibition hall as illusions.

 

상무관은 518 광주민주화항쟁 당시 희생된 시민들의 시신을 임시 보관하고 가족들에게 확인시켰던 시체검안소로 사용되었다. 폼보드로 만들어져 불안정하면서도 크고 텅빈 모형의 내부에는 4개의 소형비디오카메라가 서서히 움직이며 내부를 찍는다. 이렇게 찍힌 비디오 이미지는 모델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2 개의 비디오 프로젝터를 통해 모델 벽을 통해 전시장 벽에 투사되며, 카메라로 촬영 한 비디오 이미지와 모델 건물의 실루엣이 겹치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안과 밖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영상과 프로젝션 빛의 그림자가 레이어처럼 겹쳐지며 나의 기억과 역사, 피해자와 가해자, 과거와 현재가 환영처럼 전시장 벽면에 새겨진다.   

상무관1.jpg
상무관10.jpg
상무관3.jpg
상무관6.jpg
상무관8.jpg
상무관5.jpg
상무관11.jpg
상무관9.jpg
상무관7.jpg
상무관4.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