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y of gaze, 2018
Jeongju Jeong
Artist Statement
The “City of Gaze” series is a work that started in 2008 during the solo exhibition in Japan, mainly making a model of buildings disappearing by redevelopment, accumulating the models and growing them in urban form. This series ‘City of Gaze’ evoked me an image of the city that I experienced in Gwangju in 1980, which was gradually in my memory, after a solo exhibition in Shanghai and a solo exhibition in Seoul. The broken glass fragments and burned cars that filled the big roads, and the crowds of people under the overpasses, were a striking impression of the town where the city's normal function was stopped and paralyzed. The disappearing anonymous buildings will expand the city of gaze with the historic buildings in my memoryThe theme, “City of Gaze” combines the concepts of a “gaze” and the “city.” The word “gaze,” which means “to see,” requires a subject to behold an object that sits on the opposite end of the gaze, and is the “other” or “landscape.” And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of the sight, there are various emotional atmospheres that can be suggested. For example, looking outside from the inside, watching a spectacle with a wide field of vision, looking about while turning around slowly, repeating irregular movements, looking through a blurred eye, slowly growing closer to a fixed point and so on. In any case, the act of casting a gaze reveals the existence of the subject who takes in the object. Meanwhile, the “city” pursues a huge-scale spectacle that consists of the accumulation of various buildings – a city that consistently changes by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factors while shaping and changing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live in it. The spectacle of a city contains numerous subjects who originate a gaze, but at the same time it is reminiscent of an empty space not dissimilar to that of cityscapes of the ilk found in big-budget disaster blockbusters that project images of the aftermath of some calamity in which incalculable name-less face-less individuals breathed their last breath. The “City of Gaze” is an imaginary city existing in the world of experience of viewers who enter between a “city” of miniature images that came from Shanghai buildings and “gaze” images that are captured through the mechanical stare of a camera.“City of Gaze-Gwangju” is related to my memories of the May 18 movement that I experienced during childhood. The May 18 movement took place when I was in fifth grade. At that tie I lived in Unam-dong which was a suburb and was located on the way to Jangseong. I found out later that the suppressive forces were stationed close to where I lived. Perhaps that was the reason why the citizen forces were not dispatched from my village. In turn, no big confrontations ever occurred. What I remember the most was when I walked to the city with my older sister and brother to buy the weekly newspapers for teenagers during the time when the citizen forces were in control. Cars were burnt, and broken glass filled every steet of the city. Adults often gathered under the overpass and spoke nosily. The feeling of a paralyzed city that I experienced at that time gave rise to unfamiliarity and anxiety. As I grew up, I heard more about the stories of the May 18 movement as well as about the people who were left in the former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to the end. The fear towards others that was probably experienced in that space is reenacted through the gaze of the cameras used for the series of City of Gaze.In “City of Gaze-Gwangju”, the white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Jeonil Building and the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are made with white foam boards, while the cameras are installed inside the models. The interiors of the models captured through the cameras are shown in real-time through the monitors that were installed on the shelves surrounding the areas of the models such as the walls and space structures or through the projections on the models such as the walls and space structures on through the projections on the walls at the exhibition. When people walk between the walls packed with monitors, they can look inside of the models captured by cameras. At the same time, they are immersed in the gaze of the cameras located inside. Through this process, they will experience a new synesthesia between real space and virtual space and between history and memories.
응시의 도시, 2018
정정주
[응시의 도시 City of gaze] 시리즈는 2008년 일본 개인전때부터 시작 되서 주로 재개발에 의해 사라진, 혹은 사라질 건물들의 모형을 만들고 그 모형들을 집적 시켜 도시의 형태로 증식 시켜가는 작업이다. 이 작업 시리즈는 상하이에서의 개인전, 서울에서의 개인전을 거치면서 서서히 내 기억속에 자리하던 1980년 광주에서 경험한 도시에 대한 이미지를 불러일으켰다. 큰 도로를 가득 채웠던 깨진 유리조각들과 불타버린 차들, 그리고 고가도로 밑 공터에 모여서 웅성거리던 많은 사람들은 도시의 정상적인 기능이 멈추고 마비된 도시의 강렬한 인상이었다. 사라진, 사라져가는 익명의 건물들은 내 기억속에 자리잡은 역사적 건물들과 함께 응시의 도시를 확장시키고 있다.응시의 도시에는 ‘응시’와 ‘도시’라는 두 개의 단어가 합쳐져 있다. ‘응시’라는 단어가 의미하는 바라봄에는 언제나 바라보는 행위주체와, 보여지는 대상 으로서의 ‘타인’ 혹은 ‘풍경’이 존재한다. 그리고 응시하는 행위주체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정서적 분위기를 암시한다. 이에 비해 ‘도시’는 다양한 건축물들의 집적이 이뤄내는 거대한 스펙타클을 추구한다. 도시는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요소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며 그 안에 속한 개인들의 삶의 모습을 형성하고 변화시킨다. 도시의 스펙타클은 수많은 응시의 주체를 담아내지만 동시에 대형 재난 영화에 등장하는 무수한 익명의 개인들이 사라져 버린 텅 빈 도시공간을 연상시킨다. 응시의 도시는 나고야 지역의 건축물들로 이루어진 모형 이미지로서의 ‘도시’와 기계적인 시선인 카메라가 찍어내는 영상 이미지로서의 ‘응시’사이로 들어서는 관객의 경험 속에 실재하는 가상의 도시이다.응시의 도시는 내가 어렸을 적 경험한 5.18 의 기억과 연관되어 있다. 5.18은 내가 5학년 때 있었다. 내가 살던 동네인 운암동은 그때만 해도 광주의 외곽 지역이었으며 장성 방향으로 나가는 길이었다. 나중에 듣기로 우리동네를 바로 지나서 진압군이 주둔해 있었고 그 때문인지 시민군이 우리 동네를 통해 나가지 않았기 때문에 큰 충돌도 없었다고 한다. 내 기억속에 남은 가장 큰 기억은 시민군이 장악하고 있던 시기에 누나, 동생이랑 소년중앙을 사러 시내로 걸어갈 때의 일이었다. 시내의 모든 도로에는 차들이 불타 있었고 깨진 유리조각으로 가득 차 있었다. 어른들은 고가도로 아래 모여 웅성거리며 서로 이야기하고 있었다. 그리고 한밤중 침대 밑에 숨어 멀리서 들리는 총소리에 귀를 기울이던 기억은 내 내면과 나를 둘러싼 세계 사이에 나른한 감각적 마비를 불러일으켰다. 마비된 도시와 그 속의 폭력의 풍경들은 나와 세계, 사람과 사람들 혹은 개인과 그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집단 사이의 심리적 경계의 풍경을 만들어낸다.[응시의 도시-광주]에서 흰색의 구 도청과 전일빌딩, 구 국군병원을 흰색 폼보드로 제작하고 모형의 내부에 카메라를 설치한다. 그리고 카메라를 통해 찍힌 모형 공간 내부의 모습이 실시간으로 모형 주변을 마치 벽과 공간구조물처럼 둘러싼 선반에 설치된 모니터들을 통해, 혹은 전시장 벽면의 프로젝션을 통해 보여진다. 그 공간 안에서 마지막으로 경험했을 타자에 대한 공포, 두려움은 응시의 도시 시리즈 작업 속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 재현된다. 관객들은 모니터들로 가득 찬 벽 사이를 거닐며 카메라가 찍는 모형 공간 내부들을 지켜보지만 동시에 그 공간의 내부에 위치한 카메라의 시선에 이입된다. 이 과정을 통해 실제 공간과 가상의 공간, 역사와 기억의 공간 사이에서 새로운 공감각을 경험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