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Light’ as Experience and Illusion – Jeongju Jeong’s solo exhibition 《Luminous City》, 2024

Go Young-jae, G.MAP Curator

The act of fully enjoying art, including the external world, involves a series of ‘processes’, beyond emotional stimulation, through sense organs. For both producers and connoisseurs of art, aesthetic behavior is not simply perceiving the products of impractical or noble ideas. It is a process of mutual awareness of each experience and thought only in a balance between the subjective act of creation and the passive element of appreciation. Media artist Jeong Jeong-ju, who has deal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structure, light, and perspective, aims for an open interpretation of the work through individual elements such as light, place, and gaze, rather than the viewer's sensory experience.

The Gwangju Media Art Platform’s special invitation exhibition <Jeong Jeong-ju: Luminous City> focuses on the mediating nature of ‘light’ to discuss the duality and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light experience, Based on the concrete material of urban experience, Jeong Jeong-ju talks about the mode and presence of life within a social context. As revealed in the theme of ‘Luminous City’, the emitting artificial light guarantees a certain kind of futility along with the desire of the city in neoliberalism. The idea of light perceived by us implies all of the conflicting qualities, such as religious transcendence and the spectacle of urban civilization, nature and artificiality, hope and nihilism, the spiritual world and the material world, and sight and touch. While studying in Germany, Jeong Jeong-ju's awareness of light in his early works came from the anxiety he experienced. Beyond being warm and soft, the sunlight illuminating his room gave him a sense of fear and tactile disparity, as if “a giant’s tongue was licking my small room” at one point, which led to an exploration of light across metaphysics and the physical world and its polysemy. In this process, the eyes, which are a sensory organ that perceives light, acts on space and place as evidence of the act of seeing, that is, gaze, allowing one to experience light or the external world illuminated by light.

When this experience of light by gazing is defined as an act of connection between the subject of perception and the external world, the city's radiant light in one direction contains negative meanings such as worldly desire, lack of communication etc. In these exhibits, artificial light sources accumulated in places, where certain phenomena may occur and where something has been done or has taken place, are clearly constructed or distorted as they project a clear image and sometimes diffusely reflect around the space where the light source is located.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inversely metaphorically intersects the gaze toward the outside along with actions that respond to stimuli or wounds received from the outside world, including others. Jeong Jeong-ju explains that the external gaze evokes tactile responses, such as the ‘tongue of light’ in the early stages of his works.

The distortion of the gaze and the tactile sensation shown in his works are a kind of light illusion that draws the viewer into the light that sweeps through the entire exhibition space. The afterimage of the illusion is distorted due to the mirror effect, and the familiar city image does not show the entire monitor screen, but approaches and then flickers as a definite object due to mirrors or structures erected in the middle. After all, the interaction of light, space, and gaze induces a visual illusion like seeing a series of completed buildings.

In fact, the shape derived from light and gaze is originally light, and the deconstruction and composition of the gaze is soon repeated by the viewer's experience and thoughts. The duality of light, which goes back and forth between invisibility and visibility, arouses the artist’s awe and anxiety, which expand further to make him look at the illusion of an individual standing in a network of relationships comprising family, home, and society. The experience of light mentioned in this exhibition may not be just light that stimulates sense organs, but a mediating activity to bring out reflection on seeing and what is seen, and on subject and object.

 

According to Pragmatism philosopher John Dewey, all ‘experiences’ are the result of interactions between living creatures and certain aspects of the world where they live. The question of whether today's art will simply draw attention to the work through the flashy medium, or whether it will lead to meaningful communication through media located close to daily life, including on and off, is still an important issue to ensure medium specificity. To elaborate, I think it is time to consider whether process-type art, named after art transferred to life, can go beyond visual stimulation as a result of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producers and viewers. I hope that Jeong Jeong-ju's work, which returns to the light and enumerates the products of his private experience, will be a process that moves toward a complete experience, and that the viewer can also become a part of a completely continuous situation in that process.

경험과 환영으로서의 ‘빛’ – 정정주 개인전 《Luminous City》, 2024

 

고영재, G.MAP 학예연구사

 

 

외부세계를 포함한 예술을 온전히 향유하는 행위는 감각기관을 통한 정서적 자극을 넘어서 일련의 ‘과정’을 수반한다. 예술의 생산자와 향수자 모두에게 있어 미적 행위란 실용적이지 않거나 고상한 관념의 산물들을 단순히 지각하는 것이 아닌, 창작이라는 주체 행위와 감상이라는 수동적 요소의 균형 속에서 각각의 경험과 사고를 상호 인식하는 과정이다. 공간구조와 빛, 시점의 관계를 다뤄온 미디어아티스트 정정주는 감상자의 감각체험이 전부가 아닌 빛·장소·시선 등의 개별 요소들을 통해 작업의 열린 해석을 지향한다.

광주미디어아트플랫폼 기획초대전 <정정주: Luminous City>는 매개적 성질의 ‘빛’을 중심으로 빛 경험의 이중성과 양가적 특질을 거론한다. 정정주는 도시경험이라는 구체성을 띤 소재에서 사회적 맥락 안에서의 삶의 양태 및 현전(現前)을 이야기한다. ‘Luminous City’라는 주제에서 드러나는 것처럼 발광하는 인공의 빛은 신자유주의 속 도시의 욕망과 함께 모종의 허무를 담보한다. 우리가 인식하는 빛의 관념이란 종교적 초월성과 도시문명의 스펙터클, 자연과 인공, 희망과 허무, 정신계와 물질계, 시각과 촉각 등 상반된 성질을 모두 함의한다. 정정주의 독일 유학시절, 초기 작업에서 보이는 빛에 대한 인식은 그가 경험한 불안에서 비롯됐다. 자신의 방안을 비추는 태양빛이 따스함과 부드러운 성질을 넘어, 어느 순간 “마치 거인의 혀가 내 작은 방을 핥고 지나가는 것”과 같은 공포와 촉각적인 괴리감을 안겨주었던 일은 형이상학과 물리적 세계에 걸쳐 있는 빛, 그리고 그것의 다의성에 대한 천착으로 이어졌다. 이 과정에서 빛을 인지하는 감각기관인 눈은 보는 행위, 즉 응시의 증거로서 공간과 장소에 작용하여 빛, 혹은 빛에 의해 비추어지는 외부세계를 경험하게 한다.

응시에 의한 이러한 빛의 경험이 인식의 주체와 외부세계와의 연결행위라고 규정할 때, 도시의 발광하는 일방향의 빛은 세속의 욕망, 교감의 부재 등 부정적인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이번 전시작들에서는 어떤 현상이 일어날 수 있는 곳과 어떤 일이 이루어졌거나 일어나는 곳에 집적된 인공 광원이, 확연한 이미지 투사로 때로는 광원이 자리한 공간 주변으로 난반사되면서 또렷이 구성되거나 왜곡된다. 본 전시에서 작가는 타인을 비롯한 외부세계에서 받은 자극이나 상처에 대해 반응하는 행동들과 함께, 역으로 외부에 대한 시선을 비유적으로 교차시킨다. 정정주는 이를 두고 외부의 시선은 작업 초기의 ‘빛의 혀’와 같이 촉각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킨다고 술회한다.

작품에서 보이는 시선의 왜곡, 시선의 촉각화는 일종의 빛의 환영으로서 관람자를 전시 공간 전체를 훑고 지나가는 빛 안으로 끌어들인다. 환영의 잔상은 거울효과로 인해 일그러지기도 하고, 익숙한 도시 이미지 또한 모니터 화면을 전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닌, 중간중간에 세워진 거울이나 구조물로 인해 확실한 대상으로 다가오다가 어른거린다. 결국에는 빛과 공간, 시선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련의 완성된 건축물을 보는 것과 같은 시각적 착각을 유도한다.

빛과 시선으로부터 유래한 형상은 그것이 사실은 본래 빛이었고, 관람자의 경험과 사고에 의해 시선의 해체와 구성은 이내 반복된다. 비가시성과 가시성을 오가는 빛의 이중성은 작가로 하여금 경외와 더불어 불안을 야기시켰고, 이는 더욱 확대되어 가족, 집, 사회로 점철되는 관계망에 선 개인으로서의 환영을 목도하게 했다. 본 전시에서 언급한 빛의 경험은 그저 감각기관을 자극하는 빛이 아닌 보는 것과 보이는 것, 주체와 대상에 대한 성찰을 끄집어내기 위한 하나의 매개활동일 터이다.

 

실용주의(pragmatism) 철학자 존 듀이는 모든 ‘경험’은 살아있는 생명체와 그것이 살고 있는 세계의 어떤 국면과의 사이에서 행해지는 상호작용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지금의 예술이 현란한 미디움(medium)으로 하여금 작품을 그저 주목하게 할 것인지, 혹은 온오프를 망라한 일상의 근거리에 자리한 매체들로 인해 유의미한 교감을 이끌어낼 것인가의 문제는, 그것이 여전히 매체특정성(medium specificity)을 담보하기에 중요한 쟁점이 아닐 수 없다. 부연하자면, 삶으로 전이된 예술에서 명명된 과정형의 예술이 시각적 자극 이상의 생산자와 향수자 간의 상호소통의 결과물로서 나아갈 수 있을지에 대해 숙고해야 할 시점이 아닐까 싶다. ‘다시 빛’으로 돌아가 사적 경험의 산물을 열거한 정정주의 작업이 완전한 경험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되기를 바라며, 감상자 또한 그 과정 안에서 온전히 지속적인 정황의 일부가 될 수 있다면 좋겠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