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18광주민주화운동 40주년을 맞는 올해 빛고을 광주에서 특별한 전시가 열리고 있다. 광주시립미술관과 5·18기념재단이 공동주최하는 ‘별이 된 사람들’은 광주시립미술관에서 내년 1월 31일까지 열린다. 이 전시는 5·18광주민주화운동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세계사적 의미를 이끌어내기 위해 국내는 물론 해외 유명작가까지 참여했다. 이 땅의 민주주의를 일으켜세운 5·18민주화운동이 다양한 작품으로, 울림으로 다가온다. 이제는 하늘의 별이 된 5·18광주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그들의 희생에 담긴 숭고미를 동시대 미술로 해석한 작품들이 전시됐다. 그동안 직접적인 리얼리티를 살린 전시가 주요 흐름이었다면 이번 전시는 직접적인 묘사 대신 은유와 암시로 광주정신이 나아갈 방향을 탐색한다는 점이 새롭다.
이번 전시는 1980년 당시 광주시민들이 보여준 ‘집단 지성과 사회적 이타심’을 핵심 주제어로 40년이 지난 현재 분노와 슬픔에서 희망이 시작되는 미래지향적 메시지 전달에 초점을 맞췄다. 평범한 민중들의 연대야말로 5·18광주민주화운동이 남긴 유산이며 이를 기억하고 기념하면서 건강한 공동체 삶이 지향해야할 길을 열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이번 전시는 세계적인 작가 쉴라 고우다(Sheela Gowda, 인도), 피터 바이벨(Peter Weibel, 오스트리아·독일), 미샤엘라 멜리안(Michaela Melian, 독일), 쑨위엔과 펑위(Sun Yuan & Peng Yu,중국)를 비롯해 활발한 작품 활동으로 지명도 높은 국내 작가 등 모두 24명(팀)이 참여했다. 전시도입부는 5월 18일 그날의 비극을 암시하듯 불안하고 긴장된 분위기의 전조를 드러내는 작품을 시작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관람하도록 동선을 만들어 보는 이가 갈등하는 시대의 서사와 마주하도록 한다. 여러 갈래의 이야기들이 서로 뭉쳤다 흩어지는 전시 공간 속에서 긴장과 절정, 이완의 과정을 통해 5·18의 의미를 다시 발견할 수 있고, 신화가 된 ‘오월의 정신’을 예술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
정정주의 ‘응시의 도시-광주’는 작가 자신이 초등학교 5학년 때 경험한 5·18의 기억과 연관된 작품이다. 5·18의 상징인 구 전남도청과 전일빌딩, 상무관 모형과 작가가 경험한 당시의 공포와 두려움은 작품 속 카메라의 시선을 통해 재현함으로써 실제 공간과 가상의 공간, 사회적 역사와 개인의 기억, 가해자와 피해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대립의 감각을 전달한다. 이번 전시는 규모가 큰 전시작품과 다채로운 작품들로 다양한 감상을 전달하는 한편, 5·18광주민주화운동의 아카이브 자료로서 5·18관련자와 전문가 등 14인의 인터뷰 영상이 함께 전시돼 우리사회와 인류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한다.



광주시립미술관 <별이 된 사람들>(2020) 설치 전경
Sangmugwan 상무관 (2019)
Archtectual model of Sangmugwan made of formboard, 4 video cameras, 4 projectors, motors+dimension variables
폼보드로 만들어진 상무관 모형, 4 비디오카메라 4 비디오프로젝터, 4모터+가변설치
The Sangmugwan was used as a body checkpoint where the bodies of the victims who were killed during the 5.18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were temporarily stored and confirmed to their families. It is made of foam board and 4 small video cameras are slowly moving inside the unstable, large and empty model, and the two image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of the model and projected to the exhibition wall through the wall of the model. It is shown to the audience in real time. Through this, the boundaries between inside and outside are broken down, the shadows of images and projection lights overlap like layers, and my memories and history, victims and perpetrators, the past and the present are engraved on the walls of the exhibition hall as illusions.
상무관은 518 광주민주화항쟁 당시 희생된 시민들의 시신을 임시 보관하고 가족들에게 확인시켰던 시체검안소로 사용되었다. 폼보드로 만들어져 불안정하면서도 크고 텅빈 모형의 내부에는 4개의 소형비디오카메라가 서서히 움직이며 내부를 찍는다. 이렇게 찍힌 비디오 이미지는 모델 내부 및 외부에 설치된 2 개의 비디오 프로젝터를 통해 모델 벽을 통해 전시장 벽에 투사되며, 카메라로 촬영 한 비디오 이미지와 모델 건물의 실루엣이 겹치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안과 밖의 경계가 허물어지며 영상과 프로젝션 빛의 그림자가 레이어처럼 겹쳐지며 나의 기억과 역사, 피해자와 가해자, 과거와 현재가 환영처럼 전시장 벽면에 새겨진다.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구)전남도청 (2019)
Archtectual model of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made of formboard, 30 video cameras, 30 monitors, motors+dimension variables
폼보드로 만들어진 (구)전남도청 건축모형, 30 비디오카메라, 30 모니터, 가변설치
Former Jeonnam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remains a symbolic place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as it clamed the many lives of citizen forces who resisted to the end during the period of the uprising. Several small video cameras were installed inside of the model of the former provincial government building made with foamboards, and the spaces inside of the model are shown in real-time through several monitors that are connected to each camera. The monitors are place on the shelves similar to walls, and visitors enter into the gaze of history while walking in the space.
(구)전남도청은 민주화항쟁 당시 시민군이 끝까지 저항하며 수많은 희생자가 발생한 광주민주화항쟁의 상징적인 장소이다. 폼보드로 제작된 구 전남도청 모형 내부에 다수의 소형비디오카메라를 설치하고 각각의 카메라와 연결된 다수의 모니터를 통해 모형 내부의 공간들이 실시간으로 보여진다. 모니터들은 공간을 이루는 벽처럼 구성된 선반에 놓여지며 관객은 이 공간을 거닐며 역사의 응시 속으로 들어간다.
group exhibition:
LIGHT ON THE MOVE: 2019 ACC matching project
Korean & Asian artist exhibition with Rangga Purbaya, Indonesia
Asia Culture Center, Gwangju, Korea
2019. 6. 21 - 9. 1











Jeonil building, Gwangju 전일빌딩 (2018)
Architectual model of Jeonil building in Gwangju made of formboard, 4 video cameras, video projector, 3 motors
폼보드로 만들어진 전일빌딩의 모형, 4 비디오카메라, 비디오프로젝터, 3 모터
Jeonil Building is a symbolic building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and the first skyscraper that I ever saw. When I went to an academy to prepare for an art entrance exam in the 1980s, Geumnamno that starts from Jeonil Building was a completely different world from the houses in the suburb and was a world filled with the lights of the city, cars and buildings.
In the midst of endless demonstrations in the 1980s, Geumnamno was a symbol of a paralyzed city packed with crushed pieces of rocks, firebombs and tear gas. Jeonil Building remainde in place as a symbol that provides me a welcoming sense about the city and the future as well as the deafening of the paralyzed city.
Four small cameras placed inside the model of Jeonil Building made with foam boards capture the repetitive pillars inside the model, empty spaces and visitors in real-time and they project images on the walls of the exhibition behind the model.
전일빌딩은 광주민주화 항쟁의 상징적인 건물이면서 동시에 내가 처음 본 고층빌딩이기도 했다. 80년대 미술입시를 준비하며 학원을 다닐 때 전일빌딩부터 시작되는 금남로는 외곽의 집과는 너무 다른 세계, 도시의 빛과 자동차, 상가들로 가득 찬 세계였다. 그리고 끊임없이 반복되던 80년대의 데모 속에서 금남로는 돌조각과 화염병, 최루탄으로 가득 찬 마비된 도시의 상징이었다. 그 장소를 지켜온 전일빌딩은 나에게 도시와 미래에 대한 환영과 동시에 마비된 도시의 먹먹함을 동시에 불러일으키는 상징이다.
폼보드로 만들어진 금남로 모형의 내부에는 4대의 소형비디오 카메라가 모형 내부의 반복되는 기둥과 텅 빈 공간, 외부의 관객들을 실시간으로 찍으며 모형 뒤 전시장 벽면에 영상을 투사한다.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구)광주국군병원 (2019)
Archtectual model of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made of formboard, 7 video cameras, 7 video projectors, motors+dimension variables
폼보드로 만들어진 (구)광주국군병원, 7 비디오카메라, 7 비디오프로젝터, 3 모터+가변설치
During the Gwangju Democratization Uprising, those who were injured or killed were healed or moved to the main building of the former Armed Forces’ Gwangju Hospital. Now this place which is carved with the traces of sorrow of that time is modeled with foamboards and is displayed widely on the floor of the exhibition hall. The feet and movements of the people who walk around the model looking like giants because of its scale are captured by small video cameras installed inside the model. They represent floating souls through the images projected in small sizes on every wall of the exhibition hall in real-time.
광주민주화항쟁 당시 사상자를 옮기고 치료했던 장소로 그날의 아픔이 흔적으로 새겨진 구 국군병원의 본관이 폼보드로 모형화되고 전시장 바닥에 넓게 놓여진다. 모형과의 스케일 때문에 마치 거인처럼 모형 주변을 걷는 사람들의 발과 움직임은 모형 내부에 설치된 소형비디오카메라에 의해 찍혀지고 실시간으로 전시장 벽면 곳곳에 작게 프로젝션되는 영상을 통해 부유하는 영혼처럼 존재를 드러낸다.





group exhibition:
To Reach a Star: The 40th Anniversary of th May 18 Democratic Uprising special Exhibition
Gwangju Museum of Art, Gwangju, Korea
2020. 8. 15 - 2021. 1. 31






